- 국명 : 가지청사초[비추천명 : 뭇꼬리사초]
- 학명 : 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 과명 : 앵글러 - 사초과 (Cyperaceae) APG Ⅳ- 사초과 (Cyperaceae)
- 일본명 : ヤナギザクラ
- 영문명 : Sakhalin mitra sedge
형태
다년생이다. 근경이 매우 짧아 조밀하게 총생한다. 줄기는 높이는 30-50cm이다. 잎은 줄기보다 길이가 짧고, 엽신은 너비 1.5-3.5mm이다. 기부의 엽초는 담갈색으로 섬유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포엽은 아래쪽은 잎모양이며, 위쪽은 가시모양으로 화서보다 짧다. 화서는 소수는 2-4개로 곧추 선다. 정소수는 웅성으로 긴 곤봉모양이고, 길이는 1.5-3cm이며, 자루가 있다. 연녹색이고, 마르면 거의 백색을 띠며, 끝이 꼬부라지는 경우가 많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다소 떨어져서 붙고, 긴 원주모양이며, 꽃이 다소 성글게 달린다. 웅인편은 좁은 도란형이고, 길이 3.8-4.5mm이다. 자인편은 도란형이고, 예두이며, 짧은 까락이 있다. 과포는 좁은 난형으로 자인편보다 길고, 길이 3-3.5mm이며, 성긴 털이 있다. 짧은 부리가 있으며, 구부는 예리한 가위모양이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있고, 도란형으로 길이 1.8-2mm이며, 끝에 원반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암술은 암술대 기부는 원뿔모양으로 굵어지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분포
한국(함북, 평남,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중국, 일본
비고
실사초(C. fernaldiana)에 비해 근경이 짧고,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잎은 너비 1.5-3.5mm이므로 구분된다. 또한 웅소수는 녹백색이고, 수과는 도란형인 점도 다르다(Hoshino et al., 2011).
참고문헌
한국식물 도해도감4 사초과(2016), Hoshino, T., T. Masaki and M. Nishimoto. 2011. Illustrated Sedges of Japan. Heibonsha Ltd., Tokyo.
생육환경
▶산이나 들의 그늘진 풀밭에 난다.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